반응형
1. Flutter 설치하기
Flutter 설치 페이지에서 Flutter를 다운로드!
해당 페이지의 안내대로 Flutter를 설치하면 됩니다.
Flutter를 잘 설치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cmd 또는 terminal에서
flutter doctor
를 입력해봅시다!
만약 문제가 발생했다면 해결하고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2. IDE 설치하기
Flutter를 개발할 에디터를 설치합니다.
보통 Visual Studio Code 또는 Android Studio를 사용합니다.
Visual Studio Code를 사용한다면 extension에서 Flutter와 Dart를 설치해줍니다.
Android Studio를 사용한다면 Plugins에서 Flutter와 Dart를 설치해줍니다.
3. Flutter 프로젝트 만들기
이제부터는 Visual Studio Code(VS Code)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cmd 또는 terminal을 열어 flutter create <project name>을 입력하세요!
해당 프로젝트를 VS Code로 열어줍니다.
생성된 프로젝트 폴더 및 파일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dart_tool: 다트의 도구들을 관리하는 폴더
- .idea: 개발 도구에 필요한 설정이 있는 폴더
- android / ios / linux / macos / web / windows: 각각의 네이티브 코드가 작성되어 있는 폴더
- lib: Flutter Dart코드를 작성하는 폴더, 실질적인 소스파일
- test: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폴더
- .gitignore: git 형상관리에서 관리를 무시하는 파일 및 폴더를 설정하는 파일
- .metadata: 프로젝트가 관리하는 파일
- analysis_options.yaml: Flutter dart lint 설정 파일
- flutter_project.iml: 개발 도구에 필요한 설정이 있는 파일
- pubspec.lock: pub 패키지 의존성 버전 등의 관리가 있는 파일
- pubspec.yaml: 패키지 의존성, 버전 등의 프로젝트의 다양한 정보가 있는 파일
- README.md: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을 작성하는 파일
4. Flutter 프로젝트 실행하기
VSCode 상의 터미널을 열어
flutter run
을 입력해보세요.
그러면 원하는 플랫폼을 선택 후 여러분의 Flutter 프로젝트가 실행됩니다!
저의 경우는 MacOS 앱을 실행시켜봤습니다
반응형
'Programming > 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tter와 Supabase (0) | 2024.08.05 |
---|---|
Flutter 인기 라이브러리 - Hive 데이터베이스 (0) | 2024.05.08 |
[Flutter] Provider로 상태관리 (0) | 2024.04.02 |
Flutter StatefulWidget의 lifecycle(생명주기) (0) | 2022.12.25 |
Flutter StatelessWidget과 StatefulWidget의 차이 (0) | 2022.12.25 |